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역사 국비 신축' 탄력 받는다

재테크 거듭나기 2014. 12. 1. 10:25

'천안역사 국비 신축' 탄력 받는다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안' 반영 정치권·국토부·천안시 공감
[천안]임시역사로 방치된 천안역사 신축 사업을 정부의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 타당성 및 기본계획'에 반영해 국비로 건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천안역사를 정부 주도로 신축해야 할 당위성이 충분한데다, 국토부도 역사 신축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천안시를 비롯한 지역국회의원, 지역주민 등도 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 천안 역사 신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7일 천안시에 따르면 천안역사는 지난 2003년 민자역사 추진을 전제로 정부가 추진한 '병점-천안 복선전철(1996년-2005년 완공)'사업에서 배제돼 임시선상 역사로 영업을 개시했다. 민자역사 건립 추진은 철도청과 사업주관사 등 양 사간 이뤄졌고, 당시 인·허가권만 있는 천안시는 사업추진부터 무산에 이르기까지 역사 신축에 적극 개입할 수 없었다. 결국 민자역사 건립은 사업주관사인 천안역사 (주)가 착공지역과 자금조달 미이행 및 시공업자 불공정 선정 등으로 2012년 4월 천안시로부터 건축허가가 취소됐고 역사 신축은 무산됐다.

시는 시 의지와 상관없이 민자역사 건립이 무산됐고 정부가 당초 계획한 '병점-천안 복선전철' 사업에도 배제된 만큼 국비로 건설할 명분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400여곳의 일반철도역사 중 이용객 규모 8위에 걸맞지 않은 노후화된 시설 등도 역사 신축에 힘이 실리고 있다.

천안역은 1일 이용객이 7745명에 달할 정도로 이용객이 많지만 에스컬레이터(동부광장) 미설치, 동서간 보행연결통로 협소, 환승주차장 부재(서부광장)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철도 이용료는 다 내면서 지역민들만 역사 시설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감수하라는 것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시는 이에따라 현재 용역중인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에 천안역사 신축 사업이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내년 4월경 이 용역이 마무리되면 철도건설법에 따라 역 신설 증축 또는 개축시 천안시가 비용을 부담해야되기 때문에 더이상 늦출 수도 없다.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천안시개발위원회가 전면에 나서 '천안역사 신축 토론회'를 통해 분위기를 이끌고 있고, 지역 국회의원들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박완주 의원은 아직 확정은 되지 않았지만 '천안도심 경부선 철도부지 개발방안 연구 용역' 예산으로 3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시는 내년 1월경 이 용역을 발주해 결과가 나오면 앞서 건의한 4가지 안(천안역 신축, 두정역 개량, 눈들건널목 입체화, 청수역 신설)에 포함시켜 청주공항 복선전철 용역에 모두 담아내겠다는 계획이다.

이에대해 고용석 국토교통부 철도건설과장은 "천안역을 왜 이렇게 방치했는지 납득이 되지 않지만 지금이라도 이해관계를 떠나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며 "천안시는 이와 관련된 T/F팀을 구성해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세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