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도시계획·개발·투자

4년 넘게 지지부진 천안 북부 BIT 산단 조성 탄력 받나

재테크 거듭나기 2015. 1. 22. 11:23
4년 넘게 지지부진 천안 북부 BIT 산단 조성 탄력 받나
코오롱, 미분양 용지 의무부담 동의안 일부 수용 의사… 市 "협상 지속 최선"
4년 넘게 지지부진했던 천안 북부 BIT산업단지(이하 BIT산단) 조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BIT산단 민간사업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코오롱 측이 미분양 부지 매입과 관련, 천안시가 제안한 의무부담 조건을 일부 수용할 의지를 나타냄에 따라 평행선을 달렸던 협상의 문이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천안시에 따르면 코오롱과 대우조선해양, 한성개발, 한국부동산운용 등이 구성한 (가칭)천안비플렉스(주) 컨소시엄은 이날 시에 '준공 3년 이후 미분양 용지 90%를 천안시가 조성원가에 매입한다'는 의무부담 동의안을 공식 문서로 전달했다.

BIT 산단 미분양 용지 의무매입 동의안은 2010년 코오롱 측이 민자 우선협상대상자로 단독 선정된 이후 사업 추진 난제로 떠올랐다.

2009년 BIT 산단 조성 추진안에 시가 민간사업자 선정 공모 제시 조건으로 '준공인가 1년 이후 민분양 산업시설용지 천안시 전수매입'을 내걸었고 이듬해 4월 코오롱 측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민자 공모 조건에 대해 시가 '말 바꾸기'를 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특히 시의회가 시의 공모 기준대로 하면 의무부담 예상액이 2167억 원에 달한다는 점을 근거로 지방 재정 여건을 들어 부결시켰고 시 역시 2011년 수도권 규제완화 여파로 지역 산단 미분양 용지가 급증하면서 의무부담 이행 기간을 준공 1년에서 3년으로 늘리는 반면 연차별 매입률은 100%에서 80%로 축소했다.

그러나 코오롱 측이 공모 조건 미이행이라며 반발하면서 2010년 10월 이후 지난한 과정을 밟았다. 그런 와중에 시 역시 민자사업에서 공영개발로의 전환을 모색키도 했지만 이 역시 지방재정 문제와 지역 주민 여론 반발에 부딪힐 소지가 높아 무산됐다. 이 가운데 지난 해 12월 구본영 시장과 코오롱 부사장이 직접 만나 시가 제안한 의무부담 동의안인 '준공 3년 이후 80% 매입'에 대해 코오롱 측이 검토하겠다고 하면서 수용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코오롱 측 관계자는 "시에 전달한 의견은 준공 3년 후 미분양 산업시설용지를 90% 매입하라는 내용으로 공모지침서 원안보다 상당 부분 양보했다"면서 "장기간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면서 지역민도 불편해하고 시의회에서도 원안 조건으로는 어렵다는 입장에서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여러 상황 상 공모조건을 변경하게 됐고 사업이 부진하게 됐지만 코오롱 측과 지속적인 협상으로 산단 조성을 정상궤도에 올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BIT 산단은 총 사업비는 2526억 원(국비 706억·민자 1820억 원)을 투입해 서북구 성환읍 신가리와 와룡리, 어룡리 일원 108만1000㎡ 부지에 조성할 예정이다. 유치업종은 생명공학과 동물자원, 유전자 등 바이오테크놀로지(BT)와 전자·영상 등 IT 등이다. 강은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