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산단관리소 구조조정” 한 목소리
재테크 거듭나기
2015. 9. 4. 16:59
“천안산단관리소 구조조정” 한 목소리 | |
5곳 퇴직자 전관예우 논란… 통·폐합 공단 발족 힘 실어 | |
기사입력 : 2015-09-03 13:27 지면 게재일자 : 2015-09-04 면번호 : 10면 | |
3일 천안시와 지역 산업단지 입주업체협의회에 따르면 지역에는 7개 산업단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북부BIT산업단지를 비롯해 새로운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5곳은 시청 국장급이 명퇴(조기퇴직)로 공직을 떠나면서 자리를 옮겨 소장직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임시장 임기 말에 임명됐기 때문에 임기 2~3년이 지나는 내년 말이나 돼야 임기가 만료된다. 이들에 지급되는 연봉도 최고 7000만원(각종수당포함)에서 5000만원 이상의 고액으로 천안시가 일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반면 이들이 주로 하는 업무는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지원 및 관리업무가 고작이어서 업무에 비해 연봉이 고액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사적체도 문제다. 이들이 퇴직하기 전까지는 현재의 국장급 간부공무원들이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정년까지 기다려야하는 실정으로 후배 공무원들이 승진 기회가 박탈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업단지를 통·폐합한 관리공단의 설립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공단이 설립되면 각자의 관리사무소를 통합, 간부급 공무원의 관피아 논란이 해소 될 뿐만 아니라 고액연봉의 예산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실제 천안시와 규모가 비슷한 인접 청주시와 평택시는 이미 지자체에서 별도의 산업단지관리공단을 설립 운영,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산업단지 입주기업협의회 관계자는 “산업단지관리사무소에 고위직 퇴직자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며 “실무자급을 확대해 예산과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천안=윤원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