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 트램 도입, 지방선거 쟁점 부상하나

재테크 거듭나기 2018. 1. 9. 11:37

천안 트램 도입, 지방선거 쟁점 부상하나

2018-01-09기사 편집 2018-01-09 11:32:14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트램(노면전차) 도입이 선거 쟁점으로 부상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천안시장 출마자가 트램 도입을 대표 공약으로 제시하는가 하면 천안시도 장기발전계획에 비슷한 내용을 담아 추진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9일 천안시에 따르면 향후 천안시 발전 전략 마련을 위해 백석대 산학협력단이 시 용역을 맡아 '2030 천안시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장기발전계획에는 급속히 성장한 천안시 교통여건에서 버스시스템으로는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에 한계가 있다며 새로운 대중교통수단 도입이 제안됐다.

장기발전계획에서 제시된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은 트램이다. 장기발전계획을 작성한 용역진은 대량수송수단으로 도심 교통혼잡을 완화시키면서 특정 선로나 전력선 건설이 필요 없는 무가선 트램이 천안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트램 건설 사업비는 ㎞당 200억 원으로 총 13㎞ 구간에 2600억 원으로 추산됐다. 재원은 국비 70%, 시비 30%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장기발전계획에는 천안시 불당·백석·북부지구를 연결하는 외곽의 트램 뿐 아니라 도심 트램 설치 방안도 담겼다. 500억 원을 투입해 원도심의 천안역과 신부동 천안버스터미널을 잇는 동남구 중앙로 1㎞ 구간에 무인자동 미니 트램을 설치하자는 것.

천안시 관계자는 "장기발전계획이 비법정계획이기 때문에 트램 도입 제안이 정책으로 반드시 채택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장기과제로 검토해 볼 사안"이라고 말했다.

천안시 장기발전계획과 별도로 김영수 천안시의원은 8일 시장 출마 기자회견에서 트램 도입을 핵심 공약으로 발표했다. 김 의원은 "전철역과 전철역 사이를 잇고, 공공기관과 박물관, 전시장 등을 잇는 트램 건설로 천안 대중교통 혁신을 꾀하겠다"며 "트램이 교통수단으로 역할을 넘어 신산업 동력이자 관광산업축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램은 천안과 아산이 함께 건설해야 타당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며 천안·아산 도시철도 공동 사업단을 구성해 아산시와 트램 사업성을 살펴 장기 도시철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덧붙혔다.

재선 도전이 확실시 되는 구본영 시장을 포함해 아직 공약을 발표하지 않은 다른 시장 후보들까지 트램 도입의 찬·반을 표명하면 트램을 둘러싼 논쟁은 더 뜨거워질 전망이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