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시 수도권 기업 이전 지난해.올해 '빈손'
재테크 거듭나기
2018. 10. 15. 13:14
천안시 수도권 기업 이전 지난해.올해 '빈손'
2018-10-10기사 편집 2018-10-10 11:12:10
지난해와 올해 천안으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은 하나도 없는 반면 일부 기업들은 천안 밖으로 이탈, 기업유치 확대 정책 필요성이 제기됐다.
10일 천안시가 천안시의회 김선태, 정도희 의원에게 제출한 시정질문 답변자료에 따르면 2015년 천안으로 옮긴 수도권 기업은 4개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들의 고용인원은 110명으로 집계됐다. 2016년 1개 더 늘어 5개 수도권 기업이 천안으로 이전했다. 고용인원은 228명으로 조사됐다. 2015년과 2016년 계속된 수도권 기업들의 천안으로 이전은 2017년 뚝 끊겼다. 2017년 한해 동안 천안으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은 단 하나도 없었다. 올해도 10월까지 수도권 기업의 천안으로 이전은 전무하다.
천안시는 수도권에서 이전한 기업 수가 2009년 57개, 2010년 60개를 차지하는 등 한때 봇물을 이뤘지만 정부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 시행 등의 여파로 수도권 이전 기업 수가 급감했다. 수도권 기업의 천안으로 이전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업들은 천안을 빠져나갔다.
시정질문 답변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천안에서 18개 기업이 이탈했다. 이탈 기업은 2014년 3개, 2015년 2개, 2016년 5개, 2017년 4개, 2018년 4개까지 매년 발생했다. 이탈 기업 중 2개 기업은 성남시와 평택시로 옮겼다. 아산시로 이전한 이탈 기업도 4개였다.
김선태 의원은 천안시의 기업유치 및 지원정책의 변화를 주문했다. 김 의원은 "기업유치 정책에 천안시만의 특별한 점이 부족하다"며 "이전 기업들이 빠져 나가지 않고 천안에 뿌리내리도록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사후관리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시는 재정부담 탓에 공격적인 기업유치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천안시는 기업유치확대 정책으로 업종, 투자금액, 고용인원 반영 설비투자금의 7%를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이전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지난 3월 21일부터는 수도권 소재 기업 이전시 3년 이상 거주 근로자에게 단독이주 60만 원,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포함 세대이주 300만 원을 지급하는 이주보조금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천안시 관계자는 "수도권 규제완화 영향도 있지만 수도권 기업들은 동종 클러스터가 조성됐고 지방 이전시 채용 고충 때문에 지방 이전을 꺼려한다"며 "이전기업에 지원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도 천안시비로 70%를 충당해야 해 증액이 힘들다"고 말했다.
한편, 천안시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2016년 27억 6100만 원(5건), 2017년 27억 1200만 원(6건)을 썼다. 올해도 25억 원(4건)을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0일 천안시가 천안시의회 김선태, 정도희 의원에게 제출한 시정질문 답변자료에 따르면 2015년 천안으로 옮긴 수도권 기업은 4개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들의 고용인원은 110명으로 집계됐다. 2016년 1개 더 늘어 5개 수도권 기업이 천안으로 이전했다. 고용인원은 228명으로 조사됐다. 2015년과 2016년 계속된 수도권 기업들의 천안으로 이전은 2017년 뚝 끊겼다. 2017년 한해 동안 천안으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은 단 하나도 없었다. 올해도 10월까지 수도권 기업의 천안으로 이전은 전무하다.
천안시는 수도권에서 이전한 기업 수가 2009년 57개, 2010년 60개를 차지하는 등 한때 봇물을 이뤘지만 정부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 시행 등의 여파로 수도권 이전 기업 수가 급감했다. 수도권 기업의 천안으로 이전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업들은 천안을 빠져나갔다.
시정질문 답변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천안에서 18개 기업이 이탈했다. 이탈 기업은 2014년 3개, 2015년 2개, 2016년 5개, 2017년 4개, 2018년 4개까지 매년 발생했다. 이탈 기업 중 2개 기업은 성남시와 평택시로 옮겼다. 아산시로 이전한 이탈 기업도 4개였다.
김선태 의원은 천안시의 기업유치 및 지원정책의 변화를 주문했다. 김 의원은 "기업유치 정책에 천안시만의 특별한 점이 부족하다"며 "이전 기업들이 빠져 나가지 않고 천안에 뿌리내리도록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사후관리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시는 재정부담 탓에 공격적인 기업유치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천안시는 기업유치확대 정책으로 업종, 투자금액, 고용인원 반영 설비투자금의 7%를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이전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지난 3월 21일부터는 수도권 소재 기업 이전시 3년 이상 거주 근로자에게 단독이주 60만 원,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포함 세대이주 300만 원을 지급하는 이주보조금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천안시 관계자는 "수도권 규제완화 영향도 있지만 수도권 기업들은 동종 클러스터가 조성됐고 지방 이전시 채용 고충 때문에 지방 이전을 꺼려한다"며 "이전기업에 지원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도 천안시비로 70%를 충당해야 해 증액이 힘들다"고 말했다.
한편, 천안시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2016년 27억 6100만 원(5건), 2017년 27억 1200만 원(6건)을 썼다. 올해도 25억 원(4건)을 지방투자촉진보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