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정2지구 도시개발사업 4월 본궤도 진입"
"탕정2지구 도시개발사업 4월 본궤도 진입" |
- 노종관 도시개발국장, 4일 시정 브리핑…“동부권 중심축 발전 기대” -
노 국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탕정2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경과를 설명하면서 개발계획 및 실시설계 마스터 플랜 공모 추진 등 진행 사항을 소상히 밝혔다.
브리핑에 따르면 아산탕정2지구 도시개발 사업의 개발계획 수립 및 실시설계를 위한 공모가 진행돼 4월에 용역사가 선정되면 사업이 본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산신도시는 1992년 개발촉진지구 지정 고시 후 10년 동안 사업추진이 지연되다가 이명박 정부 시절 LH의 사업조정에 따라 2011년 면적이 2982만㎡(902만평)→882만㎡(266만평)로 축소조정 되면서 지역주민들이 많은 피해를 있었으며, 해제된 지역을 중심으로 난개발까지 진행돼 도시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해 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아산시가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국토교통부와 LH를 설득, 당시 취소되거나 축소된 지역 중 수도권 이외에 아산시만 유일하게 108만 평의 신도시급으로 다시 추진하기로 결정돼 2019년 5월 도시개발구역 지정안이 제출된 후 1년 여 만에('20.8.26) 지구지정을 조기에 받는 성과를 거뒀다.
아산시는 신도시가 시정목표인 인구 50만의 명품자족도시로 조성되도록 19년 9월부터 13개 실과의 HOT PLACE 팀을 구성, 신도시 계획에 반영해야 할 산동사거리 입체화 등 도로 8개 노선 외 27건의 아산시 요구사항을 2020년 10월 공문으로 이미 LH에 요구했다.
LH에서도 차별화된 지구 컨셉 및 특화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UCP제도를 도입해 ‘다이나믹 융·복합 친수도시’ 탕정으로 도시 콘셉트를 정하고 수변공간 활용 및 지구특화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또 LH의 공모지침서 평가항목에 주변 지역 관리방안, 중심성 확보, 민원해소방안, 수변공간계획, 대중교통 중심 현안 해소방안을 배점에 추가하고, 개발계획 공모에 참여한 용역사를 대상으로 그동안 요구했던 현안 및 주민 요구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주변지역 관리방안 등을 개발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해 왔다.
노 국장은 “탕정2지구가 아산시 동부권의 중심축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명품신도시로 조성하겠다”면서 “주민들의 민원과 주변 지역의 개발이 병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기사입력: 2021/02/04 [18:18] 최종편집: ⓒ 아산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