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원도심 정책이 10년 넘게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다. 천안시가 원도심 활성화를 기조로 한 도시재생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정작 핵심인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 마련이 지지부진하면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7일 시에 따르면 민선 6기 들어 천안시청 이전 등으로 공동화 현상이 일어난 원도심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부터 4년 간 142억 원(시비 70억·도비12억·국비60억 원)을 들여 동남구 문화동 동남구청사 부지와 명동거리, 지하상가, 공설시장에 이르는 19만㎡에 이른 지역을 복합문화특화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명동거리는 예술촌 개념을 도입해 테마별 거리 및 레지던스 등을 조성할 계획이며 상가는 현대화 등 리모델링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이들 원도심에 복합문화특화거리를 조성하면 주변 상권과 연계, 원도심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원도심 활성화의 핵심인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이 10년 넘게 확정되지 못하면서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한편 인근 재개발도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런데다 도시재생에 대한 큰 틀에서의 방향 정립없이 보여주기에만 급급해 '알맹이 빠진 원도심 활성화 시책'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2005년 천안시청이 서북구 불당동 현 청사로 이전하면서 동남구청사 부지(옛 시청사) 활용안이 마련됐어야 했지만 연구용역 이후 마땅한 활용안 도출에는 실패했다.
시가 해당 청사 활용안 수립에 적극 나서지 않고 민간사업자에 위탁하는 방안에만 몰두하면서 사실상 안일한 행정이 원도심 정책에 제동을 걸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는 2003년 시청 이전으로 인한 원도심공동화 현상 방지를 골자로 한 연구용역을 수행했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했고 이후 대기업과 연계한 복합테마파크 조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SB플라자) 입주 등도 차례로 무산됐다.
특히 2005년 수도권 규제로 수도권 기업의 천안시 이전이 물밀 듯 일면서 민자 위탁 사업 가능성에만 기댔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정병인 천안아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국장은 "원도심 활성화는 동남구청사 부지와 천안역사 등이 핵심이자 신호탄인데도 시는 하드웨어 콘텐츠보다 예술촌 조성 등 소프트웨어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가시적인 활성화가 아닌 지속적인 활성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인구유입이 될 수 있는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고정적인 인구 유입을 견인한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 마련이 부재한 데에 따른 민원이 밀려들자 부랴부랴 상반기 중 주민공청회 및 주변 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등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달 중으로 동남구청사 일원 2만2643㎡ 규모의 부지 활용안과 사업방식 용역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LHI)에 발주할 예정"이라며 "주민의 요구 등을 참고로 원도심 정책의 방향을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강은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7일 시에 따르면 민선 6기 들어 천안시청 이전 등으로 공동화 현상이 일어난 원도심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부터 4년 간 142억 원(시비 70억·도비12억·국비60억 원)을 들여 동남구 문화동 동남구청사 부지와 명동거리, 지하상가, 공설시장에 이르는 19만㎡에 이른 지역을 복합문화특화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명동거리는 예술촌 개념을 도입해 테마별 거리 및 레지던스 등을 조성할 계획이며 상가는 현대화 등 리모델링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이들 원도심에 복합문화특화거리를 조성하면 주변 상권과 연계, 원도심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원도심 활성화의 핵심인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이 10년 넘게 확정되지 못하면서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한편 인근 재개발도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런데다 도시재생에 대한 큰 틀에서의 방향 정립없이 보여주기에만 급급해 '알맹이 빠진 원도심 활성화 시책'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2005년 천안시청이 서북구 불당동 현 청사로 이전하면서 동남구청사 부지(옛 시청사) 활용안이 마련됐어야 했지만 연구용역 이후 마땅한 활용안 도출에는 실패했다.
시가 해당 청사 활용안 수립에 적극 나서지 않고 민간사업자에 위탁하는 방안에만 몰두하면서 사실상 안일한 행정이 원도심 정책에 제동을 걸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는 2003년 시청 이전으로 인한 원도심공동화 현상 방지를 골자로 한 연구용역을 수행했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했고 이후 대기업과 연계한 복합테마파크 조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SB플라자) 입주 등도 차례로 무산됐다.
특히 2005년 수도권 규제로 수도권 기업의 천안시 이전이 물밀 듯 일면서 민자 위탁 사업 가능성에만 기댔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정병인 천안아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국장은 "원도심 활성화는 동남구청사 부지와 천안역사 등이 핵심이자 신호탄인데도 시는 하드웨어 콘텐츠보다 예술촌 조성 등 소프트웨어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가시적인 활성화가 아닌 지속적인 활성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인구유입이 될 수 있는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고정적인 인구 유입을 견인한 동남구청사 부지 활용안 마련이 부재한 데에 따른 민원이 밀려들자 부랴부랴 상반기 중 주민공청회 및 주변 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등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달 중으로 동남구청사 일원 2만2643㎡ 규모의 부지 활용안과 사업방식 용역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LHI)에 발주할 예정"이라며 "주민의 요구 등을 참고로 원도심 정책의 방향을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강은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