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지역정보

경기도 공장들이 천안으로 오는 이유?

재테크 거듭나기 2008. 6. 3. 12:56
규제와 땅값으로 등떠밀리는 경기도 공장들
작년 85만원 화성땅값 130만원 호가
업체들 서해안벨트ㆍ충청도로 이동중

지난해 모 신문사는 경기도 용인에서 인쇄소 터를 구하려다 결국 경상도까지 갔다. 건축 면적 1만3000㎡ 공장과 신문 운송 트럭이 들어설 수 있는 주차장을 만들 땅을 찾을 수가 없었던 탓이다. '가격은 상관없으니 넓은 땅만 찾아달라'고 했지만 이천ㆍ여주지역까지 샅샅이 훑어도 연접지역개발제한 때문에 땅을 찾을 수 없었다.

국내 굴지의 S기업 계열사에서도 2만6000㎡ 규모로 경기도에 물류창고 자리를 찾고 있는데 아직 마땅한 땅을 구하지 못했다. 평균가인 3.3㎡당 100만원을 훌쩍 넘는 가격을 제시해도 땅이 좁아 번번이 실패다.

◆ 수도권 규제에 땅값 상승

= 경기도 공장들이 밀려나고 있다. 일단 수도권 공장총량제로 신축 자체가 어렵다. 용인시청에 따르면 5월 27일 현재 관내 등록공장은 1546개, 최근 2년 새 공장은 겨우 30여 개 늘었다. 서울 근교 용인 이천 등지 공장들이 화성 평택 쪽으로 많이 옮겨왔지만 수도권 화성시 동탄 2기 신도시, 평택 용이 청북지구 등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로 다시 이주 수요가 생기고 있다. 토지공사 동탄사업단에 따르면 동탄 2기 신도시 개발로 이전 통지를 받은 업체만 443개에 달한다.

땅값도 많이 올랐다. 경기도 화성시 공시지가(2008년 1월 1일 기준)는 14.94% 상승해 전국 8위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중소업체들은 택지보상비를 받아도 대토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땅값이 낮은 충청도 쪽으로 남하하고 있다. 화성시 인근 땅값은 현재 3.3㎡당 100만원 안팎이다. 작년 초만 해도 3.3㎡당 85만원짜리 땅이 있었지만 지금은 100만원 아래로는 찾기 어렵다. 공급이 달려서 고속도로 IC와 가까운 쪽은 130만~150만원도 호가한다. 정남면 인근 P공인은 "시화공단, 반월공단 쪽에서 더 싼 땅을 찾아서 옮겨오는 수요가 있지만 최근에 거래된 바는 없다"고 전했다.

팔탄면 인근 A공인 관계자는 "지금은 빈 땅이 있어도 연접 제한에 걸려 추가 허가가 안 나기 때문에 물량이 달린다"며 "이쪽으로 왔다가 아예 땅값이 상대적으로 싸고 허가 내기 쉬운 충북 음성, 충남 천안ㆍ아산 쪽으로 발걸음을 돌리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 공장용지 취득 위해 M&A 시도

= 경기도 화성시 동탄 인근에서는 땅을 취득할 목적으로 인수ㆍ합병(M&A)을 시도하는 일도 일어나고 있다. 동탄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상업지구 가격이 많이 오르자 '땅 구하는 돈으로 차라리 회사를 인수하자'는 판단을 한 것이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범퍼에 들어가는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화성시 A사도 최근 ○○개발 업체와 M&A 위기를 간신히 넘겼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주로 금속회사나 공작기계 회사 등 비상장회사들이 타깃"이라며 "토지와 자산가치에 비해 회사 주식이 싼 사례가 많기 때문에 동탄 주변에서 땅을 확보하기 위해 M&A를 시도하기도 한다"고 했다.

◆ 지방으로 밀려나는 공장들

= 경기도에서 남쪽으로 멀어질수록 땅값은 내려가지만 업체 부담은 늘어난다. 물류업체는 경기도를 조금만 벗어나도 물류이송 비용이 많이 들어가 각 도시로 접근성이 떨어진다. 소도시라 인구가 적고, 기존 용지와 멀면 새로 노동력을 구하는 것도 문제다.

새만금개발 등으로 도로ㆍ기반시설이 확장되는 서해안벨트 쪽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진명기 JMK플래닝 사장은 "시화공단 주변이나 인천에 있던 공장들이 아시안게임에 즈음해서 화성ㆍ평택ㆍ당진 쪽으로 옮겨갔다"면서 "혁신도시 등 지역개발계획이 지연돼 새만금 등 개발이 가시화되는 서해안벨트 쪽을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화성시 비봉 등도 공장용지로 선호하는 지역이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다. 작년 초 3.3㎡당 80만원에 구한 공장용지가 현재 150만원을 호가한다. 여기서 못 구하면 경기도 남쪽과 접해 있는 충북 경계 쪽으로 내려가야 한다. 대소터미널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음성군 대소면 소석리 인근 임야는 3.3㎡당 20만~25만원 수준이고, 형질ㆍ지목 변경을 해서 건축물을 지을 수 있도록 정비한 길 건너 땅은 60만원에 분양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 현행 규제로는 토지공급 확대 어려워

= 수도권 지역을 옭아매는 규제가 풀리기 전까지는 땅을 구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민생대책특위 규제개혁분과는 지난달 28일 입법계획보고대회에서 수도권 내 대기업의 공장 신ㆍ증설 허용을 확대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현행 규제가 유지되는 한 토지 공급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대표는 "경기도에서는 수도권 공장총량제 때문에 사실상 공장을 지을 땅이 없고, 연접개발제한 등 규제 때문에 가용토지가 줄어드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