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지역정보

아산 신도시 개요사항

재테크 거듭나기 2008. 7. 7. 12:03

 

 

 

아산 신도시 개요

 

 

개발의 필요성

  경부고속철도 천안아산역를 중심으로 수도권 인구 및 기능의 분산 수용을 위한 거점적 신도시를 조성하여 국토공간 균형개발, 서해안 개발의 교두보, 환황해 경제권 진출의 중심지로서 광역 아산만권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지역현황
  서울도심에서 약 80km에 위치한 아산신도시는 경부고속철도 서울~대전역 중간에 위치하며, 천안시 서부지역, 아산시 동부지역 경계에 입지하고 있다.
경제 2km 지점에 천안시 신청사, 아산시청이 지구 내에는 탕정 테크노컴플렉스, 선문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개발지구로 지정된 2,928.6ha의 83.1%가 전·답의 농지와 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곡교천이 지구남측에 접하여 동서로 흐르고 있으며,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농경지와 양호한 수림대로 형성되어 있다.
경부고속철도(천안아산역)와 장항선(장재역)이 지구 내 남북, 동서로 관통하며, 고속도로 2개 노선, 국도 5개 노선, 국지도 1개 노선, 지방도 2개 노선이 인접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이다.
사업개요
 
위치ㆍ면적 : 천안시 불당동 및 아산시 배방면 일원, 367만㎡
※ 2단계(2,350만㎡) : 2005년~2015년
주택ㆍ인구 : 주택 8.1천호, 인구 25.2천인
추정사업비 : 1.2조원(용지비 0.8, 개발비 0.4)
사업시행자 : 대한주택공사
사업기간 : 2004년 ~ 2008년
토지이용계획
총계 주택 상업ㆍ업무 도로 공원ㆍ 녹지 기타
368.3 (100%) 70.7 (19.2%) 49.0 (13.4%) 88.5 (24.0%) 88.9 (24.1%) 71.2 (19.4%)
도로 및 공간구조
  아산신도시의 가로망은 동서방향 4개축, 남북방향 2개축(4×2)을 격자형으로 구성하는 가로망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고속철도 노선에 의한 동서단절과 장항선 철도에 의한 남북 단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간선도로는 시설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기존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천안~아산 도시연담화에 대비하여 동서연결도로를 중심축으로 설정하고, 고속철도 역세권을 중심으로 상업·업무용지를 배치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고속철도 역사주변지역과 자연환경이 양호한 하천변 및 낮은 구릉지 등에는 주거용지를 집중 배치하였다. 공업용지는 매곡천 동측을 대상으로 교육, 연구, 지식산업기능을 배치하고 남측에 탕정테크노컴플렉스와 연계하여 전기ㆍ전자업종의 연관산업단지를 배치하였다.
공원ㆍ녹지
  아산신도시는 남북방향의 자연녹지축 및 하천녹지축, 동서방향의 탕정테크노컴플렉스 인근 보전임지와 대학, 양호한 수림대를 연결하는 녹지축을 중심녹지축으로 설정하였으며, 두 녹지축이 만나는 중앙부에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규모 녹지공간(중앙공원)을 조성하였다.
농업진흥지역 및 경지정리가 끝난 집단우량농지와 탕정테크노컴플렉스 주변의 양호한 산림은 녹지로 보전하며, 역사 전면부에는 개방감을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저수지 및 중앙공원을 배치하여 신도시의 상징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공원과 각 시설은 보행 및 자전거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고속철도 역사이용의 편리성을 위해 역사주변에 대규모 광장을 계획하였다.
주택
  아산신도시는 약 53,500세대의 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며 단독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주상복합 등 다양한 형태의 주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였다.
고속철도 주변은 우선 개발이 요구되는 지역이며 도심기능이 입지한 곳으로서 중고층 아파트 및 주상복합용도로 개발하여 도심적 분위기를 연출하고 구릉지와 하천 변에는 주변자연과 조화되도록 연립주택 및 중·저층 아파트를 배치하여 시각적 개방 감을 확보하였다.
경관이 양호한 구릉지 및 공원주변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를 배치하여 경관조망 및 쾌적성을 제고 시키도록 계획하였다
도시간 교통망
  아산신도시를 위한 도시간 교통망은 총 10개의 도로 및 2개의 철도에 의해 처리된다.
당진, 평택은 국도39호선, 지방도 628호선과 연결되고 공주, 부여는 국도39호선, 지방도 629호선과 연결되며, 수원, 서울은 국도1호선, 국도43호선에 의해 연결된다.
경부고속도로 천안IC 및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남천안I·C에서 국도1호선 및 국도21호선에 의해 접근가능하며, 경부고속철도 역사 및 장항선 역사가 지구 내 입지하고 있어 수도권에서 접근성이 뛰어나며 환승의 편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  본 정보는 인허가 변경 등으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보다 정확한 정보는 해당 사업주체 또는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기관 : 국토해양부 (http://moc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