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도시계획·개발·투자

아산시 도시교통정비 기본(변경) 및 중기계획(안)

재테크 거듭나기 2016. 3. 30. 10:57

아산시 도시교통정비 기본(변경) 및 중기계획(안)



2016. 3.







아 산 시


계획의 개요


□ 계획의 목적

 ㅇ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제5조 및 제8조에 의거, ‘2030아산시 도시기본계획’ 변경 및 법정 수립시기 도래에 따라, 현재와 미래상에 적합한 시민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중·장기 교통대책을 수립

□ 계획의 범위

 ㅇ 시간적 범위: 2020년(중기계획 5년), 2030년(기본계획 20년)

 ㅇ 공간적 범위: 아산시 행정구역 및 인접 시·군

 ㅇ 내용적 범위: 도로, 대중교통, 교통체계 효율화 등 교통분야 계획

□ 계획의 주요 내용

 ㅇ 광역․간선 교통망 체계

  - 광역도로, 철도, 간선도로

 ㅇ 대중교통체계

  - 철도, 버스, 택시, 환승

 ㅇ 교통체계 효율화

  - 교통운영․관리, 수요관리, 교통안전, 주차장

 ㅇ 친환경적 교통체계

  - 보행 및 교통약자, 자전거, 지구교통

교통정책 목표 및 방향


 ㅇ 2030 아산시 교통정책의 VISION은 「지속가능한 도시성장과 시민이 행복해지는 교통」으로 설정

  - 지속성장 가능한 효율적인 교통체계 구축

  - 사람중심의 친환경적인 교통체계 확립

  -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환경 조성




부문별 개선방안


 1. 광역․간선교통망 체계


□ 기본방향
 ㅇ 상위계획 반영을 위한 지역간 유기적 연계 교통 구축
 ㅇ 장래 도로여건변화, 통행패턴 변화에 부합될 수 있는 교통체계 구축
 ㅇ 교통류 처리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교통체계 구축

 (1) 광역교통체계 개선




□ 지역 연계가로망체계 구축
 ㅇ 수도권축
  - 국도39호선, 45호선이 수도권 직접 연계
  - 국도43호선 대체우회도로 우선 준공
 ㅇ 천안축
  - 국도21호선 대체도로 신설
    (천안방면 교통량 분석 및 연계 강화)
 ㅇ 공주축
  - 국도39호선  확장 조기시행 필요
 ㅇ 예산축
  - 국도21호선 확장 건의
  - 서부내륙(평택~부여) 고속도로 조기 시행 필요

□ 광역철도망 구축
 ㅇ 수도권 전철 연장
  - 수도권 전철 신창역에서 도고온천역까지 연장 운행 건의
 


 (2) 간선도로망체계 개선




□ 간선도로망체계 보완
 ㅇ 미연결 구간 연계
  - 국도대체우회도로(염성~용두) 조기시행 건의
  - 어의정로~신정로 연계도로 신설



 2. 대중교통체계


□ 기본방향
 ㅇ 이용자 중심 버스노선 및 운영체계 개선
 ㅇ 도시 개발축에 부합되는 수도권 전철 이용 효율 극대화 방안 수립
 ㅇ 교통수단간 연계체계 구축, 대중교통 서비스의 다양화


 (1) 버스체계 개선




□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ㅇ 생활권 환승 거점 중심 간・지선 체계 개편 추진
  - 생활권별 중복 노선이 분기되는 결절점 중심
  - 도심방면 중복노선 개선 및 굴곡도 최소화
 ㅇ 인접 도시 버스노선 도심 접근 억제

□ 대중교통 전용지구 조성
 ㅇ 개인 승용차 통행 억제, 대중교통 이용 유도
 ㅇ 대중교통 이용자 협의 증진 및 안전성 확보
 ㅇ 도입대상 : 시민로(시민로 사거리 ~ 관광호텔사거리)
□ 광역간선급행 시범노선 도입
 ㅇ 장거리 노선의 통행 시간 단축 및 정시성 확보
  - 3개 노선(평택방면, 천안방면, 도고방면)

□ 수요응답형 버스(DRB) 시범도입
 ㅇ 마중버스 미운행 오지 구간
  - 2개 노선


 (2) 도시철도망 개선




□ 도시철도 도입
 ㅇ 국도21호선 천안방향 교통량 집중 분산
  - 도고온천역 ↔ 천안역구간 도시철도추가
 ㅇ 아산시 서부지역 도시의 균형 발전
  - 인주역 ↔ 도고온천역 도시철도 연결

□ 역사 연계체계 강화
 ㅇ 인주역 접근동선체계 확보


 (3) 택시운영체계 개선




□ 마중택시 운영 개선
 ㅇ 마중택시 노선과 마중버스노선의 수익성에 따른 노선 조정
  - 도심 및 버스정류장 인접 마을은 마중버스로 전환
  - 비수익 노선에 대해 마중택시 전환

□ 관광 콜택시 도입
 ㅇ 아산시 관광 이용수요자의 다양한 통행 선택권 제공
  - 관광상풍 개발을 통한 관광객 전용 서비스 제공

 (4) 교통시설물 개선




□ 환승 거점 및 철도역사 주변 관리체계 수립
 ㅇ 불법주정차 단속 및 환승주차장 설치
 ㅇ 접근동선상 보도 설치

□ 철도역사 환승시설 개선
 ㅇ 수도권 전철 역사의 수단간 환승체계 개선
  - 환승주차장, 버스정류장, 보도, 자전거 등



 3. 교통체계 효율화


□ 기본방향
 ㅇ 효율적인 교통체계 개선
 ㅇ 안전한 도시교통체계 구축


 (1) 교통운영·관리체계 개선




□ 신호운영 선진화방안 및 연동화체계
 ㅇ 직진우선의 신호원칙 확립
  - “좌회전 후 직진”,“직진·좌회전 동시”를 “직진 후 좌회전”으로 개선하는 신호원칙 확립
 ㅇ 교차로 신호주기 연동화

□ 교차로 기하구조 개선방안
 ㅇ 회전교차로 설치

□ 가로구간 운영체계 개선
 ㅇ 일방통행 운영방안
  - 지구교통개선사업과 연계한 이면도로 일방통행 운영방안
 ㅇ 주요 혼잡도로 개선방안
  - 차로 불균형에 따른 혼잡구간 개선방안 수립


 (2) 화물수송체계 개선




□ 조업주차 관리
 ㅇ 건축물 조성시 조업주차 공간 확보
□ 화물수송체계 효율화
 ㅇ 우회도로 확보를 통한 화물차량 도심지 통행 제한


 (3) 교통수요관리 개선




□ 교통수요관리정책 시행
 ㅇ 교통수요유발부담금 경감방안을 통한 수요관리
 ㅇ 도심내 불법주차단속
 ㅇ 대체수단 활성화방안
  - 버스전용차로제, 업무택시제 도입
  - 대중교통수단 다양화, 이용 활성화
  -통합 통근버스 운행 유도, 주차제한정책 등


 (4) 주차장 개선




□ 주거지역 주차환경 개선
 ㅇ 주변 자투리 부지, 소규모 공동주차장 건설
 ㅇ 내 집 주차장 갖기 운동
 ㅇ 통행체계 변경에 따른 차로폭 조정

□ 상업・업무지역 주차환경 개선
 ㅇ 부설주차장 활성화 유도 및 공영주차장 유로화 실시
  - 주차장 공급 제한을 통한 대중교통 수단전환 유도
 ㅇ 환승주차장 설치
 ㅇ 주차정보안내체계 구축
 ㅇ 불법주정차 단속강화

□ 산업단지 주차환경 개선
 ㅇ 법적 규제적 측면에서의 제도적 개선방안 도입
 ㅇ 주차시설 이용 활성화 계획 수립
 ㅇ 불법주정차 단속강화
 ㅇ 주차시설 안내시스템 도입

□ 환승거점지역 주차환경 개선
 ㅇ 법적 규제적 측면에서의 제도적 개선방안 도입
 ㅇ 환승주차장 관리체계 도입
 ㅇ 환승주차 이용자에 대해 지원체계 강화

□ 관광지 주차환경 개선
 ㅇ 법적 규제적 측면에서의 제도적 개선방안 도입 및 환승주차시설 안내시설 강화
 ㅇ 주차시설 관리원 도입


 (5) 교통안전 개선




□ 안전한 도로인프라 구축
 ㅇ 교통사고 누적지점·구간 개선
 ㅇ 교통신호기 전방 설치


□ 교통약자 보호강화
 ㅇ 어린이/노인보호구역 확대 및 정비
  -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등 관련사업 진행시 “어린이·노인·장애인보호구역 통합지침(2011)”준용
  - 버스서비스 개선, 생활도로 정비
ㅇ 교통안전 교육확대
 
□ 교통문화 선진화
 ㅇ 교통안전의식 제고 및 지식보급 확대
  - 운수업체 운수종사자, 일반운전자, 어린이 대상 교통안전교육 내실화



 4. 친환경적 교통체계


□ 기본방향
 ㅇ 생활도로의 본래 기능 회복을 통한 보행환경 개선
 ㅇ 차량 중심의 도로에서 사람·환경 중심의 도로망 개선


 (1) 보행 개선




□ 보행환경
 ㅇ 보행동선의 연속성 확보
  - 보행동선 단절구간에 보도 및 횡단보도 설치
  - 협소한 보도폭 확폭
  - 불량구간 정비
 ㅇ 보행관련 대중교통시설 정비
  - 대중교통시설 보행자 대기공간 확보

 ㅇ 보행기초시설 개선
  - 보차상충 최소화를 위한 보차분리시설 확충
  - 보행신호등 또는 점멸등 설치로 보행안전성 증대
  - 보행자 안내표지판 설치
  -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에 맞는 횡단보도 현시 계획 재수립


 (2) 자전거이용환경 개선




□ 단계적 구축
 ㅇ 1단계
  - 현상태를 유지, 기투자된 자전거이용시설 개선사업을 통한 자전거도로 개발
 ㅇ 2단계
  - 기존자전거도로 미연결 지점 중 연결이 시급한 자전거 도로 개설
 ㅇ 3단계
  - 자전거우선도로를 개발하여 자전거이용을 활성화
 ㅇ 4단계
  - 자전거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자전거도로 개발

□ 자전거도로 구축
 ㅇ 국가자전거도로 관련계획 반영
 ㅇ 지역연계 자전거도로 구축
 ㅇ 도심내부순환 연계 자전거도로 구축
 ㅇ 하천변 연계 자전거도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