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모닝충청 내포=장찬우 기자] 충남도가 역점 추진 중인 수소차 육성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충남도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 부품 실용화 및 산업 기반 육성 사업'이 정부지원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13일 밝혔다.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자문위원회는 12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의 예타 결과를 들었다.
예타 결과에 따르면 종합평가(AHP)에서 통과 기준인 0.5 이상을 넘겨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전기차와의 경쟁구도로 인해 경제성(B/C)은 0.8로 다소 낮게 나왔지만, 정책적 타당성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충남도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수소차 육성 사업에 총 708억원(국비 349억원)을 투입해 부품 기술 개발과 기반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부품기술개발은 ▶고성능 소형차 연료전지 셀 구조 ▶수소 재순환 유량 부족 현상 방지용 수소재순환 부품 ▶고온에서 작동 가능한 냉각수 이온제거 장치 ▶스택 적층수 저감 가능 승압용 고전압 부스터 등 18개 과제에 441억원을 투입한다.
연구 및 평가장비 구축은 ▶연료전지 스택 부합 환경 평가 장비 ▶연료전지용 분리판 물성평가 장비 ▶공기차단 및 공기압력 조절 시스템 평가 장비 ▶연료전지 시스템용 대형 환경 기밀 시험 장비 등 14종 19대에 84억원을 투자한다.
‘수소차 육성’ 예타 통과 의미와 전망
충남은 명실공히 수소차 메카로 가는 출발점에 서게 됐다. 수소차는 수소(H2)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자동차다.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세계 각국 자동차기업들이 앞 다퉈 기술개발에 나서 상용화되가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차량 가격과 미흡한 충전망, 내구성 등이 여전히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 있다.
충남도의 예타 통과 결실은 수소차 글로벌 산업 생태계를 선점하기 위한 발걸음을 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충남에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2개의 완성차 제조업체와 664개 자동차 부품업체가 입지해 있다.
또 IT와 철강, 화학 등 자동차 전후방산업 인프라는 물론, 자동차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원 같은 연구기관도 많다.
충남도내 자동차 생산 대수는 연간 58만대로 전국 14%를, 수소 생산량은 16만9000톤으로 전국의 12.1%를 차지하고 있다.
수소차 부품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데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토 중심부에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인 데다, 당진항 등 물류체계도 잘 갖추고 있다.
세계 친환경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R&D 경쟁력도 커져,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소차 육성 사업은 나아가 미래 수소 에너지 산업 기반 확충과 수소 경제 구현을 위한 불씨가 될 전망이다.
이구주 충남도 전략산업과 담당은 “자동차 관련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자동차 트렌드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국내 자동차 산업 위축이 우려되며, 부품 개발이 원활치 못할 경우 완성차 업체는 수입 부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충남도 수소차 육성 사업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중소·중견 기업이 세계적인 수소차 부품 기업으로 도약 할 수 있도록 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우여곡절 끝에 예타 통과
충남도는 지난 2014년 10월 수소차 육성 사업에 대한 예타를 신청했다.
경제성 확보를 위해 그동안 두 차례나 사업 규모를 축소했다.
미래 시장 규모와 기술 수명 주기, 부품 개발과의 연계성도 시각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다.
비록 사업규모가 축소되기는 했지만 사업이 확정된 만큼, 내년도 정부예산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수소차 분야 시장 선점과 선도를 위해 중소·중견 기업의 기술 개발과 부품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충남경제비전 2030'을 수립하면서 ‘청색(Blue) 산업 육성 프로젝트’ 비전을 제시했다
.
수소 에너지 산업 기반 확충과 수소 경제 구현에 대비하기 위해 앞으로 각종 포럼과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에 환경부 보급 사업으로 수소충전소 1기를 구축해 운영 중이며, 관용 수소차 18대도 운영하고 있다.
장찬우 기자 jncom15@goodmorningcc.com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