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충남 천안과 충북 청주의 지난달 아파트 가격이 전월보다 하락했다. 두 지역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인데 관리지역 낙인효과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본보 1월 23일자 9면 보도-지역 부동산 '미분양 낙인' 에 운다>

6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충남과 충북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각각 -0.11%와 -0.09%를 기록했다. 충남은 도 단위 지역 중 경북(-0.18%)에 이어 가격 상승률이 낮았고 충북은 경북, 충남, 경남(-0.1%) 다음이었다. 구체적으로 충남은 천안 동남구와 아산이 -0.15%를 보여 전반적인 가격 하락을 이끌었고 충북은 청주 서원구와 상당구가 -0.19%, -0.16%를 기록했다.

전세가 상승률 역시 마이너스를 보였다. 충남과 충북은 -0.15%, -0.04%를 보였는데 충남에선 천안 동남구가 -0.09%,충북에선 청주 청원구와 흥덕구가 -0.13%, -0.06%로 조사됐다.

충남과 충북의 수부조시인 천안과 청주지역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가 하락한 건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시행하는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제도’에 기인하는 측면이 없지 않다.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에서 주택사업을 하려는 사업자는 부지매입 전 HUG에 예비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심사에 통과하지 못하면 금융권의 분양보증 등에서 제약을 받는다. 이 같은 제도를 통해 미분양을 털어내는 게 정부의 목표지만 가격 하락으로 아파트 거래 등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충남 천안의 경우 지난해 10월 아파트 거래량이 2876건이었지만 점차 줄어들어 지난 1월엔 1745건까지 급감했다. 매매가가 크게 떨어진 충북 청주 청원구도 같은 기간 372건에서 305건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앞으로의 신규 아파트 공급물량과 예정물량이 상당해 가격 하락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천안과 청주는 충남과 충북에서 그나마 아파트 분양 대박을 터뜨릴 수 있는 지역이어서 건설사의 분양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가격 하락은 더욱 가속화될 수도 있다. 행정적인 제약을 통한 미분양 물량 털어내기가 아니라 이를 보완하거나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요구의 목소리도 나오는 이유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미분양관리지역이라는 낙인으로 해당 지역 부동산 분위기가 가라앉을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됐다”며 “충남과 충북은 미분양주택이 많은 데도 앞으로의 예정된 분양 물량과 입주 물량은 상당해 가격 하락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