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지역 1년째 미분양관리지역 꼬리표

재테크 거듭나기 2018. 1. 25. 12:41

천안지역 1년째 미분양관리지역 꼬리표


입력 2018-01-25 11:39 수정 2018-01-25 11:40


천안시가 한동안 미분양관리지역 꼬리표를 떼지 못할 전망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난해 12월 29일 수도권 6개, 지방 17개 등 총 23개 지역을 '16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해 발표했다.

천안은 지난해 1월 '5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현재까지 미분양 물량 증가와 분양 물량이 올해도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천안과 아산지역의 미분양물량이 줄지 않자 미분양 관리지역 해제를 오는 3월 31일로 연기했다.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되면 주택(분양보증 발급예정인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업부지를 매입(매매, 경·공매, 교환 등 일체 취득행위)한 사업자는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받아야 한다.

미분양관리지역 선정 기준은 미분양 주택 수가 500세대 이상인 시·군·구 중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주택 수가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거나 당월 미분양주택 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세대 수의 두 배 이상인 지역 등이다.

이달 말 발표될 17차 미분양관리지역 공고에서 천안은 지정 해제가 연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천안은 지난해 하반기 들어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미분양 주택 물량도 같이 증가했고 앞으로 공급 물량이 많은 만큼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안시 미분양 현황은 지난해 12월 기준 4643세대로 전년도 동월 대비 60%(1752세대) 증가했다.

지난해 1월 2740세대에서 6월 1618세대로 감소했지만 8월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기준 천안지역 미분양 분포는 서북구가 4054세대로 동남구(589세대) 보다 6.8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안지역이 미분양 늪에 빠진 이유는 몇 년 사이 이뤄진 공급 과잉 때문으로 최근 불당신도시를 포함해 지역 내 2만5000여세대 이상의 물량이 공급됐다.

오는 2021년까지 사업승인이 완료됐거나 사업계획이 예정된 물량만 1만6891세대에 달하고 있으며, 사업승인 신청 중인 아파트까지 더하면 2만399세대에 이를 전망이다.

지역주택조합 설립, 또는 착공 인가받은 조합이 4582세대며 설립을 신청 중인 조합도 7194세대 등 총 1만1776세대다.

이 같이 미착공 된 아파트와 사업승인 신청 중인 아파트 물량까지 합세할 경우 공급과잉 우려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대출금리 인상과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정책으로 주택시장이 위축되면서 미분양 물량이 대거 쌓였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분석이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올해 입주 예정인 아파트만 9000세대로 올해 입주가 끝나야 미분양관리지역 해제가 가능할 것 같다"며 "향후 2~3년 정도는 지나야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천안=박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