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 업성저수지 ‘친환경 교량’이 난개발 불렀다

재테크 거듭나기 2019. 7. 10. 12:44
천안 업성저수지 ‘친환경 교량’이 난개발 불렀다
  • 조한필 기자
  • 승인 2019.07.09 13:06
  • 댓글 0
   
 
돌출된 넓은 자연녹지에 맞닿게 다리 건설
계획 알려지자 땅값 치솟아 ‘황금의 땅’으로
“경관심의前 허가받자” 상가 건축신청 봇물
 
 
천안 업성저수지 생태공원의 ‘자연관찰 데크교량’(화살표)이 남쪽 자연녹지(사각형)와 맞닿게 건설됨에 따라 이 일대 난개발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천안 업성저수지 생태공원의 ‘자연관찰 데크교량’(화살표)이 남쪽 자연녹지(사각형)와 맞닿게 건설됨에 따라 이 일대 난개발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                 

천안 업성저수지 생태공원 조성 계획에 뒤늦게 들어간 저수지 횡단 교량이 주변 난개발(본보 2019년 7월 8일자 보도)을 불렀다.


길이 280m 교량이 저수지 북쪽에서 남쪽 자연녹지 약 8만 5000㎡에 맞닿게 계획되는 바람에 이 일대가 ‘황금의 땅’으로 변해 난개발을 부채질했다는 지적이다.


지역 부동산중개업자 김 모(55) 씨는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교량이 이 일대 자연녹지로 연결되는데 땅값이 안 오를 수 있겠냐”며 “이후 개발업자들이 벌떼처럼 달라붙어 난개발이 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천안시에 따르면 이 교량은 폭 3~8m, 높이 3~7m로 저수지 경관을 저해하는 구조·색상을 지양해 ‘친환경적·친자연적’으로 건설된다. 그런데 이 ‘친환경 교량’ 계획 때문에 교량이 연결되는 자연부지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아 3.3㎡당 600만~1000여만 원을 호가했다. 결국 이 땅들은 ‘엄청난’ 값에 팔렸고, 여기에 상가 건물 20곳이 무더기 건축허가를 받아 착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상가들은 내년 말 생태공원 완공에 맞춰 잇따라 들어설 조짐이다.


상가 대부분은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교량 건설이 알려진 지난해 10월 이후 앞 다퉈 건축신청을 천안시에 냈다. 특히 올해 3월엔 건축신청 11건이 한꺼번에 들어왔다. 4월 중순 경관조례가 개정되면 저수지 부근 작은 건물도 경관심의를 받아야 하는 걸 알고, 서둘러 신청한 것이다.

천안 업성저수지 생태공원의 ‘자연관찰 데크교량’ 조감도. 계획이 알려지자 교량이 연결되는 자연녹지(왼쪽)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천안 업성저수지 생태공원의 ‘자연관찰 데크교량’ 조감도. 계획이 알려지자 교량이 연결되는 자연녹지(왼쪽)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놀랍게도 자연녹지 20개 상가의 모든 설계를 천안 T건축사무소 한 곳이 도맡았다. 시행사·토지주들을 조율해 관통도로를 내고, 상가 용도도 적절히 배분했다. 이업체가 시를 대신해 이 일대 ‘지구단위계획’을 한 셈이다.


난개발의 주역인 횡단 교량(정식명은 ‘자연관찰 데크교량’)은 생태공원 설계용역 초기엔 없었다. 지난해 5월 온라인 주민공청회에서 처음 나왔다. 이어 10월 2일 오프라인 공청회에서 일부 주민이 “수변 둘레길 4.1㎞가 너무 길어 노약자는 불편하다”며 되돌아 올 수 있는 방법을 요구했다. 해답으로 교량이 제시됐다.


그러더니 교량설치 계획은 수질을 책임지는 농어촌공사 협의까지 통과해, 지난해 11월 22일 설계용역 중간보고회 때 처음 외부 공개됐다.


건축 신청이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해 올해 3월 ‘피크’를 이룬 것이 교량 건설이 논의되던 지난해 5~10월 시점과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천안=조한필 기자 chohp11@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