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 직산 송전탑 건설 갈등, 천안시로 불똥 튀나

재테크 거듭나기 2020. 7. 14. 08:20

천안 직산 송전탑 건설 갈등, 천안시로 불똥 튀나

 

승인 2020-07-13 11:10 김한준 기자

 

 

 

 

 

천안 직산 송전탑 및 송전선로 건설을 두고 한국전력공사와 지중화를 요구하는 주민들 간의 갈등의 불똥이 천안시로 튈 전망이다.

송전탑 및 송전선로 지중화를 요구하며 한전과 갈등을 빚었던 '직산송전탑지상화반대대책위원회'은 최근 송전탑 및 송전선로 준공 5년 후 천안시와 한전이 사업비를 50%씩 부담해 지중화하는 방안을 시에 요청했다.

한전의 내부 규정에 따르면 송전탑 및 송전선로 준공 후 5년간의 의무사용 기간 이후에는 지중화 사업비의 50%를 지자체가 부담하겠다는 지자체의 요청이 있을 시 심의를 거쳐 지중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한전은 현재 기준으로 송전탑 및 송전선로 지중화에 들어가는 예산을 6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천안시는 대책위가 제시한 안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5년 후 갈등의 재점화 가능성이 크다.

앞서 한전과 반대대책위는 지난달 3일 대책위, 직산읍 상덕1·2리, 양덕2리 이장은 한전과 154㎾ 직산분기 송전선로 건설공사 시행과 관련해 합의서를 작성했다.

합의서에 주민들은 다음 달 15일까지 철탑 2호와 8호에 대한 철탑기초공사 및 조립공사, 철탑 5호와 10호에 대한 지반조사, 진입로 축조 공사 시 한전과 시공사의 마을 도로와 진입도로 사용에 적극 협조하고 공사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고 있다.

또 합의에 따라 한전에서는 지난해 11월 13일 상덕2리 이장 등 주민 2명에 업무방해 고소, 지난 2일 공사 시 방해자에 대한 즉일조사 등 형사사건에 대해 미고발 및 취하하기로 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한전의 요청에 따라 한전 측과 특별지원사업비 등을 두고 합의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당장 지중화가 어렵다면 준공 5년 후 지자체의 요청에 따라 지중화하는 방안을 시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서 한전에 지중화를 요청하는 것에 대해선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직산 송전철탑 및 송전선로 건설공사는 이미 설치된 15만 4000V(154kV)의 한샘-둔포 고압 송전선로에서 새 송전철탑 12기를 세워 직산변전소까지 새로운 154kV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그동안 주민들은 한전에 지중화를 요구하며 한전과 충돌해왔다.
천안=박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