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의회, 20년 전보다 못한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 우려 표출
- 사업면적 비슷한 신방통정구역보다 세대수 2배 많지만, 출입구 3배 적어
- 주차장 용지 비율 0.6%...20년 전과 동일
- 시 관계자 "타당한 계획이지만, 긍정적인 방안 모색하겠다"
승인 2025-03-17 11:11신문게재 2025-03-18 12면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김영한 시의원과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 구상도.
천안시의회가 향후 부족한 주차장과 출입구, 교통체증 유발 등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표출했다.
17일 시에 따르면 성거소우구역 도시개발사업은 면적 97만 3725.9㎡ 면적 내 8284세대, 1만9884명의 수용인구를 계획으로 2027년 말까지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의회 건설도시위원회 소속 김영한 의원은 최근 5분 발언을 통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도시개발사업은 혈세 낭비를 초래한다"며,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는 문제점을 안타까워했다.
토지이용계획상 이 구역의 주차장 용지 비율은 0.6%에 불과해 김 의원이 말하는 20년 전 행정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실제 2004년 계획된 신방통정구역 도시개발사업도 주차장 용지 비율이 0.6%로, 해당 지역 도로 위에는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들이 난무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해당 사업구역에는 서북구청 신청사가 건립될 가능성이 있어 주차장 부족현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크다.
김 의원 또 출입구 수가 부족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사업면적이 비슷한 신방통정구역는 4000여세대에 주 출입구가 11개가 있는데 반해, 8300세대에 가까운 성거소우구역은 주 출입구가 4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어 그는 차선을 확장해 교통체증을 대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4차선에서 2차선으로 변경되는 부분과 육교가 필요하다는 부분, 망향휴게소 주변 도로는 미래를 위해 2차선이 아닌 6차선으로 개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관련 법령과 관계 기관 부서랑 협의를 하고, 교통영향평가 등을 거쳐 타당하게 사업계획이 수립됐다"며 "다만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향후 사업시행자랑 논의해 긍정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영한 시의원은 "성거소우구역은 신방통정구역과 비교할 때, 세대수는 2배인데 주 출입구가 3배나 적다"며 "2번의 주민설명회에서 나온 요구사항은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것을 볼 때 천안시가 시민의 편인지, 민간 업체의 편인지 의문이 든다"고 역설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재테크로 성공하기 > 천안·아산 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도, 충남·경기 베이밸리 상생협력 사업 공동보고회 개최 (0) | 2025.03.24 |
---|---|
충남경제자유구역 ‘연내 지정’ 해낸다 (0) | 2025.03.24 |
공주-천안 민자고속도로 개설사업 '새 국면' (0) | 2025.03.13 |
'주택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전 시민으로 확대 (1) | 2025.03.10 |
천안 최초 벤처캐피털 등록, 투자환경 청신호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