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두정역 북부개찰구 사업, 기관 간 불협화음 탓 '제자리 걸음'만

재테크 거듭나기 2017. 5. 19. 10:42

두정역 북부개찰구 사업, 기관 간 불협화음 탓 '제자리 걸음'만

2017-05-17기사 편집 2017-05-17 17:40:30

대전일보 >지역 > 충남 > 천안


천안시,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이 천안 두정역 북부개찰구 사업추진 중인 가운데 기관 간 입장차가 반년 가까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제자리 걸음'에 머무르고 있다.

17일 천안시 등에 따르면 시, 철도시설공단은 북부개찰구 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12월 공사비 산출 등을 위한 실시설계용역비 10억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공사비 분담비율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엇갈리면서 반년 가까이 협약조차 맺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자체 재정여건 상 전액을 부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고 철도공단은 철도건설법 상 원인자인 시가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 양기관은 이미 공사비 분담비율을 두고 지난해 7월부터 수차례 협의를 가진 바 있다. 아직 정확한 사업비 산출은 되지 않았지만 공사비는 100억원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근주민들은 사업 정체가 지속되면서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정치권의 공조로 실시설계용역비를 확보했는데도 사업 추진은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협약, 용역기간 등을 감안하면 올해 착공이 불가할 것으로 보이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비치고 있다.

두정역 인근 한 주민은 "인근 주민들이 2009년부터 민원을 제기한 사안인데 관련 기관들이 8년째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답답하고 더욱이 설계를 위한 사업비를 확보했는데도 기관 간 눈치싸움만 계속하고 있어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지 속이 탄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본래 공사비 분담비율을 철도공단과 나눠서 부담하기로 했지만 올해 초 철도공단이 말을 바꿔 공사비 전액을 시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해 협약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자체에서 100억원의 예산을 전부 부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두정역은 역 주변 개발규모와 달리 출입구가 한 곳에 불과해 지난 2009년 인근 주민들이 민원으로 역사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국토교통부가 진행한 철도역 출입구 등 역사 보완 방안 마련 연구용역'에서 서비스 수준 E등급을 받은 바 있다. 김대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