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안]"한발 앞서 나가는 기업지원 서비스 제공으로 충남테크노파크가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가 되도록 최선 다하겠다."
이응기(51·사진) 충남테크노파크(이하 충남TP)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충남이 스마트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신기술 기반의 제조업 혁신에 집중하겠다고 24일 본보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한 "충남TP 구성원들이 '기업성장 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업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주력산업의 분야별 시급성, 중요성, 필요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조직을 개편하는 등 적재적소에 전문인력을 배치해 경쟁력 있는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충남의 신산업 발굴을 위해서는 충남TP가 수행 중인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 사업' 과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기반 구축 사업'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예비타당성 조사신청에는 3000억 원 규모의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과 950억 원 규모의 바이오브릿지 소재 관련 사업으로 지원센터 건립과 연구개발(R&D)이 포함될 예정이다. 오는 2022년부터 사업이 시작되는 예비타당성에서 충남이 선정될 경우 충남이 바이오 메카의 입지를 다지는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충남TP는 재정, 인력, 인프라 측면에서 외형적으로 성장해 왔다"며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동반자로서 스마트 충남이 구현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확대 및 기업 역량 강화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펼쳐 4차 산업혁명 시대 충남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지역 기업과 우수한 지역 인재들을 적극 매칭해 기업에는 우수한 인재가 공급되고 청년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갖는 선순화 구조를 만들어 지역의 고용률을 끌어 올려 사업화 매출과 고용 성과가 동시에 창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혔다.
이 원장은 제10대 충남TP 원장으로 지난 6일부터 2년 임기를 시작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은 이 원장은 삼성자동차 중앙연구소, 삼성SDI 생산기술연구소 등을 거쳤으며 공주대 기계자동차공학부 정교수로 재직했다.
충남TP는 스마트ICT융합센터(천안), 디스플레이센터(아산), 자동차센터(천안, 예산), 바이오센터(논산, 예산), 이차전지기술센터(천안),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천안), 수소연료전지차 부품시험평가센터(예산) 등 중소기업 보육 및 지원시설을 갖추고 있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응기(51·사진) 충남테크노파크(이하 충남TP)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충남이 스마트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신기술 기반의 제조업 혁신에 집중하겠다고 24일 본보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한 "충남TP 구성원들이 '기업성장 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업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주력산업의 분야별 시급성, 중요성, 필요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조직을 개편하는 등 적재적소에 전문인력을 배치해 경쟁력 있는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충남의 신산업 발굴을 위해서는 충남TP가 수행 중인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 사업' 과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기반 구축 사업'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예비타당성 조사신청에는 3000억 원 규모의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사업과 950억 원 규모의 바이오브릿지 소재 관련 사업으로 지원센터 건립과 연구개발(R&D)이 포함될 예정이다. 오는 2022년부터 사업이 시작되는 예비타당성에서 충남이 선정될 경우 충남이 바이오 메카의 입지를 다지는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충남TP는 재정, 인력, 인프라 측면에서 외형적으로 성장해 왔다"며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동반자로서 스마트 충남이 구현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확대 및 기업 역량 강화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펼쳐 4차 산업혁명 시대 충남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지역 기업과 우수한 지역 인재들을 적극 매칭해 기업에는 우수한 인재가 공급되고 청년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갖는 선순화 구조를 만들어 지역의 고용률을 끌어 올려 사업화 매출과 고용 성과가 동시에 창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혔다.
이 원장은 제10대 충남TP 원장으로 지난 6일부터 2년 임기를 시작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은 이 원장은 삼성자동차 중앙연구소, 삼성SDI 생산기술연구소 등을 거쳤으며 공주대 기계자동차공학부 정교수로 재직했다.
충남TP는 스마트ICT융합센터(천안), 디스플레이센터(아산), 자동차센터(천안, 예산), 바이오센터(논산, 예산), 이차전지기술센터(천안),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천안), 수소연료전지차 부품시험평가센터(예산) 등 중소기업 보육 및 지원시설을 갖추고 있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