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산업단지는 지금 혁신거점 대변신중
2022.6.15 11:06
대한민국 산업의 핵심 생산기지인 국가산업단지가 노후화되며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산업단지는 지난 50년간 국내 경제성장을 지탱해 왔다. 국내 전체 제조업 생산의 64%, 수출의 66%, 고용의 49%를 산업단지가 맡는다.
15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전국 1238개 산단 중 착공 후 20년이 지난 노후 국가·일반·농공 산단 수는 총 473곳. 생산기반이 낙후되고, 문화·복지·주거·편의시설 부족 등으로 우수 인재들이 산단내 취업을 기피하며 경쟁력과 활력 저하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단지공단은 산단을 혁신과 재도약의 거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정주여건 및 근로자 편의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위한 구조고도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노후산단 고도화 사업은 ▷휴폐업공장 리모델링 ▷복합문화센터 건립 ▷혁신지원센터 구축 ▷아름다운거리 조성 등 4대 사업으로 구성됐다.
산단 내 휴·폐업공장 등을 활용해 창업기업을 육성하는 휴폐업공장 리모델링은 구미국가산단, 성남일반산단 등 3개 산단에서 추진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총 15개 산단이 선정됐다.
철강·조선산업 구조조정, 생산공장 해외이전 등의 여파로 산단 내 휴·폐업 공장이 증가되는 추세다. 특히 구미, 군산, 창원 등 제조업 기반 도시는 대기업 이전에 따른 실업률 및 휴폐업 용지 증가로 지역경제에도 타격이 크다. 군산국가산단의 경우 산단 내 현대중공업의 휴업으로 지역 일자리 5000개가 소멸된 게 대표적 사례다.
산단공은 산단 내 휴·폐업공장을 기업 수요에 맞게 리모델링 공급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을 유치하고, 기업들의 성장을 지원해 신규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다.
노후 산단의 각종 편의시설 부족은 젊은 인재들의 취업기피 요인 중 하나다. 산단공은 지난 2019년부터 정부·지자체 예산과 민간투자 등을 투입해 대전·대구·군산·춘천 등 31개 산단에서 정주시설 및 문화·복지 등 편의시설 확대를 추진 중이다. 올해 33곳이 추가 선정될 예정이다.
실제 2021년 준공된 반월, 창원복합문화센터 2개소를 이용하는 근로자 대상 만족도 조사 결과 만족도 평균점수는 94.7점. 환경개선 사업에 대해 입주기업 근로자들과 지역민의 만족도가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산단공은 이 사업을 통해 문화·주거·복지·편의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을 단일 또는 복합 건물에 집적해 설치한 복합문화센터를 건립, 청년층 유인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노후산단을 혁신산단으로 조성하기 위한 혁신지원센터 구축사업도 하고 있다. 지역내 혁신시설들이 분산돼 효과적인 지원체계가 형성되지 않아 제조업 기술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추세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다. 전국 17개 산단에 들어서게 될 혁신지원센터는 R&D, 기업지원 등의 혁신기능 집적화를 위한 시설로 건립된다.
2000년대 들어서며 산단 노후화 증가에 따라 기반시설 및 입주기업 근로자의 근로환경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청년층의 산단 기피사유 중 편의시설 부족·환경오염 등 환경적 요인이 31.5%에 달할만큼 문제의 심각성이 지적됐다.
산단공은 노후산단과 도시 사이의 환경적 이질감 극복을 통해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산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을 실시했다. 올해까지 총 26개 산단에서 사업이 시행된다. 이미 시행된 익산산단의 경우 보행로 개선, 소규모 체육시설 건립, 버스정류장 정비 결과 하루 평균 이용객이 91% 가량 늘어났다.
김정환 산단공 이사장은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기지로 그 위상과 잠재력은 굉장히 크다” 면서 “노후산단에 대한 환경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 이를 통해 산단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혁신의 거점이자 희망의 요람으로 거듭나게 하겠다”고 말했다. 유재훈 기자
igiza77@heraldcorp.com
헤럴드경제
'재테크로 성공하기 > 정책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경제자유구역 내 공장 신·증설 허용 등 공장설립 관련 입지규제 개선 가속화 (0) | 2022.07.27 |
---|---|
아파트 분양가 15일부터 재조정 들어가 [천안신문] (0) | 2022.07.19 |
투기과열지구 특별공급 물량, 5년간 전매제한 (0) | 2018.05.15 |
천안시 기업유치 촉진조례 일부개정 조례안 입법예고 (0) | 2017.12.01 |
산업단지가 제조업과 서비스업, 주거와 상업 기능이 복합된 단지로 거듭난다 (0) | 201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