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믿었던 대책위원장 ‘배신’, 탕정 테크노산단 대책위 갈등 골 깊어져

재테크 거듭나기 2023. 3. 31. 12:56

믿었던 대책위원장 ‘배신’, 탕정 테크노산단 대책위 갈등 골 깊어져 [아산신문]

2023/03/30 14:52 입력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로 기사전송 밴드공유 C로그로 기사전송

곽진구 전 위원장 시행사와 물밑 ‘합의’, 토지주 곽 전 위원장 집 가압류

 

[아산=로컬충남] 아산 탕정 테크노일반산업단지 개발을 두고 충남도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 탕정면 갈산리 일대 토지주들이 곽진구 전 토지주 대책위원장을 향해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토지주들은 충남도지사를 상대로 산단지정 무효소송을 냈지만 지난해 7월 1심에 이어 2월 2심에서도 패소한 상태다. 그 사이 시행사인 D 건설은 개발구역 토지면적 절반 이상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사업부지인 갈산리 일대엔 2월부터 공사 가림막이 설치됐고, 지금은 중장비가 오가는 상황이다. 토지주들은 2심 승소 이후 시행사가 공사 강행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토지 수용에 성공한 시행사가 공사를 서둘러 원상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이를 원인으로 들어 대법원에서 무효소송을 최종 기각시키려 한다는 게 토지주들의 주장이다.

 

 

여기에 곽진구 전 대책위원장과의 신뢰는 산산조각 났다. 곽 전 위원장은 테크노일반산단 적법성 논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기자에겐 유력한 취재원이기도 했다.

 

 

하지만 곽 전 위원장은 지난해 9월에서 10월 사이 시행사와 합의했고, 이게 수용재결 요건인 개발구역 토지면적 50% 조건을 충족하는 빌미로 작용했다.

 

 

토지주 A 씨는 “토지주들에게 곽 전 위원장은 신이나 다름없었다. 그에게 전권을 맡기다시피 했는데 배신당했다”고 격분했다.

 

 

이에 대해 곽 전 위원장은 28일 오후 기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옳고 그름을 떠나 토지주가 권력기관인 충남도를 상대로 이길 수 없는 게임이었다. 행정부의 판단과 사법부의 법리해석은 믿음이 없고 시시각각으로 변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나마 협상의 기회를 서로 놓쳤고, 이유는 각자의 판단이고 각자의 몫이다. 스스로 멈출 줄 알아야 하고 멈춤의 지혜를 끝까지 변호사에게 맡겼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이어 29일 오후 재차 문자 메시지를 보내 “지난해 10월 전체 토지주 회의를 소집해서 현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거취를 공개적으로 분명하게 밝혔다”고 알렸다.

 

 

하지만 남은 토지주들의 말은 다르다. 신임 L 대책위원장은 즉각 “시행사와 공식협상을 한 건 아니다. 시행사는 보상가에 20% 웃돈을 얹어 주겠다고 했으나 당시 토지주 중 하나였던 H 그룹의 의지가 확고해서 H 그룹을 믿었다. 곽 전 위원장이 합의로 몰아가려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상황 진두지휘 곽진구 전 위원장, 보험가입 권유까지

 

 

 

갈등의 와중에 토지주 B 씨는 대전지법 천안지원에 곽 전 위원장이 거주하는 아파트에 대해 압류를 가신청했고, 법원은 지난 13일 이를 받아 들였다.

 

 

“곽 전 위원장이 토지주 동의없이 시행사와 합의할 경우 토지주 1인당 3억 원 씩 배상하는 내용의 각서를 썼는데 이를 위반했다”고 토지주 B 씨는 밝혔다.

 

 

게다가 곽 전 위원장이 토지주들에게 보험가입을 권유한 사실까지 불거졌다. 실제 곽 전 위원장은 기자에게도 인적사항을 묻고 보험가입을 권유하는 대담함까지 보였다.

 

 

토지주 C 씨는 “곽 전 위원장이 다수의 토지주에게 보험영업을 했다. 이중 2명이 가입했는데, 곽 전 위원장이 애쓰는 모습에 보답차원에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곽 전 위원장은 “보험가입은 선택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다.

 

 

토지주들은 잇단 패소에다 믿었던 대책위원장의 갑작스런 합의로 곤란한 지경이다. 특히 저간의 사정을 감안해 볼 때 곽 전 위원장이 토지주들의 절박한 마음을 이용해 자기 이익을 챙겼다는 비난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 지유석 기자 ]지유석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icj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