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 성공하기/천안·아산 새소식

천안시 직산읍 주민들 "고압 송전선로 지중화" 촉구

재테크 거듭나기 2018. 4. 9. 11:15

천안시 직산읍 주민들 "고압 송전선로 지중화" 촉구

2018-04-08기사 편집 2018-04-08 13:09:48

대전일보 > 지역 > 충남





첨부사진1지난 6일 직산읍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직산읍 주민들이 송전선로 지중화를 촉구하는 보드판을 들고 한전측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 윤평호 기자

천안시 직산읍 주민들이 15만 4000V(154kV)의 고압 송전선로 지중화를 촉구하며 강력 투쟁을 예고했다.

송전탑직산반대대책위원회는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주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 않고 송전선로와 송전철탑 지상화 설치를 강행하고 있다며 한전과 천안시청 앞에서 반대 집회 개최 등 요구사항 관철을 위한 행동에 본격 돌입하겠다고 8일 밝혔다. 반대대책위의 투쟁 수위 상승에는 주민들과 한전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6일 직산읍행정복지센터 2층에서 열린 간담회가 자극 됐다.

이 자리에서 주민들은 건강권 피해를 호소하며 고압 송전선로 지중화를 주장했지만 한전은 지중화 불가를 못 박았다.

간담회에 참석한 직산읍 상덕리 한 주민은 "고압 송전선로 철탑이 목장과 마을 한 가운데를 가로질러 간다"며 "전자파가 사람은 물론 동물한테도 안 좋은데 어떻게 입지가 선정됐는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천안시 청당동 등 도심은 송전선로를 지중화 하면서 이곳은 농촌이라고 지상화 하느냐"며 반발했다. 직산읍 양당첨단산업단지 기업인은 "산단에 20여 개 업체가 2012년 입주해, 1200여 명이 최소 12시간 이상 머무르지만 2015년 송전선로 사업고시까지 아무런 설명을 못 들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반대대책위 주민들은 한전이 애초 2015년 입지선정위원회에 지상화와 지중화를 놓고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지상화 방식 채택을 유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반대대책위 관계자는 "한전이 지상화 사업비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지중화 사업비는 지상화 보다 몇 배 더 소요된다는 식으로 두루뭉술 설명했다"며 "한전이 실제는 지중화를 한번도 제대로 검토 않고 지상화 정보 제공에만 치중해 주민 요구와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한전은 지중화 공사비는 상세설계를 실시해야만 제공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전 관계자는 "지중화는 도심지나 대규모 택지, 산업단지 개발지역에 국한해 시행한다"며 "직산읍은 지중화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지중화로 바꾸면 사업기간이 6-7년 더 소요돼 전력공급 목표에 차질이 발생해 지중화로 변경은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한전에 따르면 직산변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공사는 이미 설치된 154kV 한샘-둔포 송전선로에서 새 송전철탑 12기를 세워 직산변전소까지 새로운 154kV를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한전은 2019년 10월까지 직산 154kV 송전선로와 직산변전소 건설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한전은 송전철탑 12기 부지 2기의 땅을 확보하고 노선측량을 실시 중이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