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양율 저조로 천안물류단지의 물류시설 용지에 목적과 달리 밭작물만 가득하다.
사진=윤평호 기자
천안물류유통단지(이하 천안물류단지)가 1804억 원을 투입해 완공하고도 분양률 저조로 이름만 물류단지로 전락했다.
14일 천안시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는 서북구 백석동 일원 46만 4000㎡ 면적에 2005년 12월 착공해 2009년 11월 천안물류단지 공사를 마쳤다. 천안물류단지는 2011년 11월 정식 준공됐다. LH는 2009년부터 천안물류단지 토지 분양에 나섰지만 물류시설 용지 분양률은 10여 년을 앞둔 현재도 한 자리수에 머물러 있다.
최근 천안시는 천안시의회 정병인 의원에게 천안물류단지 분양현황이 포함된 시정질문 답변자료를 제출했다. 자료에 따르면 천안물류단지 용지 중 단독주택, 공동주택, 지원시설, 상류시설, 주차장은 용지가 100% 매각됐다. 반면 8필지의 물류시설 용지는 겨우 1필지만 매각됐다. 물류시설 용지 분양율은 고작 7.6%. 1필지가 팔렸어도 물류시설 용지는 10만여㎡가 여전히 미분양 상태다. 물류단지 전체 공급용지 27만 1000㎡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인 물류시설 용지(11만 7000㎡) 분양율이 7.6%로 저조한 탓에 다른 용지가 모두 매각됐음에도 천안물류단지 총 분양률은 60.1%에 그쳤다.
천안물류단지는 핵심시설로 중심부에 배치된 물류시설 용지가 미분양 돼 수년 째 제 기능을 수행치 못하고 있다. 이미 용지 분양이 끝나 공동주택과 전문상가, 대규모 점포 등이 들어선 천안물류단지내 다른 용지들과도 대조된다. 실제로 지난 14일 기자가 찾은 물류시설 용지는 주민들의 작물 경작만 왕성해 밭과 다름 없었다. 불법경작을 금지한다는 LH의 경고판만이 해당 부지가 천안물류단지 용지임을 웅변했다.
물류시설 용지 분양이 지지부진해 천안물류단지가 제 역할을 못하며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다. 천안물류단지 전문상가의 한 상인은 "허허벌판에 상가만 덩그러니 있는 꼴"이라며 "애초 예상했던 물류단지에 크게 못 미쳐 장사에도 악영향이 많다"고 한숨을 토했다.
천안시와 LH는 답답함을 털어놨다. 천안시 관계자는 "LH가 시행한 사업이라 시는 LH에 미분양 해소 대책을 촉구할 뿐"이라고 말했다.
LH는 물류시설 용지 분양 촉진책으로 종전 물류터미널, 집배송단지, 창고시설로 나눠진 물류시설 용지를 2015년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 '물류시설'로 일원화 했지만 분양률이 낮아 고충이 따른다고 밝혔다. LH 대전충남지역본부 관계자는 "조성 원가로 공급하지만 평당 분양가가 209만 원이고 요즘의 기업경기 상황과도 분양율 저조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LH는 지난 8월 물류시설 용지 1필지가 매각된 뒤 분양에 활로를 찾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
천안시의회 정병인 의원은 "더 이상 시간에만 맡겨놓아선 안 된다"며 "물류시설 용지를 차라리 천안시가 매입해 체육문화교육시설 용지로 활용하는 특단의 대책도 검토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4일 천안시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는 서북구 백석동 일원 46만 4000㎡ 면적에 2005년 12월 착공해 2009년 11월 천안물류단지 공사를 마쳤다. 천안물류단지는 2011년 11월 정식 준공됐다. LH는 2009년부터 천안물류단지 토지 분양에 나섰지만 물류시설 용지 분양률은 10여 년을 앞둔 현재도 한 자리수에 머물러 있다.
최근 천안시는 천안시의회 정병인 의원에게 천안물류단지 분양현황이 포함된 시정질문 답변자료를 제출했다. 자료에 따르면 천안물류단지 용지 중 단독주택, 공동주택, 지원시설, 상류시설, 주차장은 용지가 100% 매각됐다. 반면 8필지의 물류시설 용지는 겨우 1필지만 매각됐다. 물류시설 용지 분양율은 고작 7.6%. 1필지가 팔렸어도 물류시설 용지는 10만여㎡가 여전히 미분양 상태다. 물류단지 전체 공급용지 27만 1000㎡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인 물류시설 용지(11만 7000㎡) 분양율이 7.6%로 저조한 탓에 다른 용지가 모두 매각됐음에도 천안물류단지 총 분양률은 60.1%에 그쳤다.
천안물류단지는 핵심시설로 중심부에 배치된 물류시설 용지가 미분양 돼 수년 째 제 기능을 수행치 못하고 있다. 이미 용지 분양이 끝나 공동주택과 전문상가, 대규모 점포 등이 들어선 천안물류단지내 다른 용지들과도 대조된다. 실제로 지난 14일 기자가 찾은 물류시설 용지는 주민들의 작물 경작만 왕성해 밭과 다름 없었다. 불법경작을 금지한다는 LH의 경고판만이 해당 부지가 천안물류단지 용지임을 웅변했다.
물류시설 용지 분양이 지지부진해 천안물류단지가 제 역할을 못하며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다. 천안물류단지 전문상가의 한 상인은 "허허벌판에 상가만 덩그러니 있는 꼴"이라며 "애초 예상했던 물류단지에 크게 못 미쳐 장사에도 악영향이 많다"고 한숨을 토했다.
천안시와 LH는 답답함을 털어놨다. 천안시 관계자는 "LH가 시행한 사업이라 시는 LH에 미분양 해소 대책을 촉구할 뿐"이라고 말했다.
LH는 물류시설 용지 분양 촉진책으로 종전 물류터미널, 집배송단지, 창고시설로 나눠진 물류시설 용지를 2015년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 '물류시설'로 일원화 했지만 분양률이 낮아 고충이 따른다고 밝혔다. LH 대전충남지역본부 관계자는 "조성 원가로 공급하지만 평당 분양가가 209만 원이고 요즘의 기업경기 상황과도 분양율 저조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LH는 지난 8월 물류시설 용지 1필지가 매각된 뒤 분양에 활로를 찾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
천안시의회 정병인 의원은 "더 이상 시간에만 맡겨놓아선 안 된다"며 "물류시설 용지를 차라리 천안시가 매입해 체육문화교육시설 용지로 활용하는 특단의 대책도 검토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천안물류유통단지의 물류시설 용지에 물류시설이 한곳도 들어서지 않으며 계획과 달리 밭으로 변했다.
사진=윤평호 기자